top of page
Writer's pictureMartina de Vries

Some Eye-Catching Elements When You Are an International Student in SK

한국에 있는 유학생들의 눈길을 끄는 요소들


Consumerism:

South Korea had to recover economically after the war. The really big leap forward occurred in the 1980s and 1990s as the country recovered from the war years. All South Koreans have literally put themselves out there to get the country back on track, even if that meant forgetting certain values in the long run.

The cult of novelty has taken over with the invasion of K-pop or that of cinema.

Ultra-consumerism, as it appears, may

shock some people. Many new habits have been adopted at the expense of tradition and respect for elders.

The elderly has experienced North-South separation with heartbreakers in their families. They still live in the fantasy of a possibl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e new generation Koreans, on the other hand, hardly want this outcome, which could lead to economic disaster.


소비지상주의:

한국은 전쟁 후에 경제적으로 회복해야 했습니다. 진정한 대약진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일어났는데, 이 나라는 전쟁으로부터 회복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비록 그것이 장기적으로 특정한 가치를 잊는 것을 의미할지라도, 모든 한국인들은 말 그대로 그것을 바로잡기 위해 국가의 봉사에 자신을 바쳤습니다.

새로움에 대한 숭배는 한국 가요나 영화의 침략으로 이어졌습니다.

겉보기에는 초소비주의가 일부 사람들에게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많은 새로운 습관들이 전통과 노인들에 대한 존경을 희생하면서 채택되었습니다.

나이 든 사람들은 가족들의 비통함과 함께 남북 분단을 경험했습니다. 그들은 여전히 남북한 간의 통일이 가능하다는 환상에 잠겨 살고 있습니다. 반면 신세대 한국인들은 경제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이러한 결과를 거의 원하지 않습니다.




Alteration:

Even the Korean language has evolved differently over time on both sides of the border. Many South Koreans no longer feel that they share a community of spirit with people in the North. This rupture may be definitive.

The South Korean literature of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evoked war, "this separation" a literature of the more nationalistic kind. But in the last twenty years it has moved to a literature that focuses on the cultural development of South Korea.

The South Korean adage 빨리 빨리 "pali-pali" meaning "faster" is now in vogue on the streets of Seoul today. The pace of South Koreans' life has suddenly accelerated. And this acceleration is causing not only collateral damage but also casualties.

South Korea has become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young people in the world. And alongside these people, many adolescents only dream of breaking away, of going away. They plan to study or work abroad, mainly in the United States, France, Germany, but also in Switzerland for a few years if they have the means.


변화:

시간이 흐르면서, 심지어 한국어도 국경 양쪽에서 다르게 발전해 왔습니다. 많은 한국인들은 더 이상 북한 사람들과 정신 공동체를 공유한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이 중단은 결정적인 것일 수 있습니다.

20세기 후반의 한국 문학은 다소 민족주의적인 형태의 문학인 "이 분리"라는 전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그들은 한국의 문화 발전에 초점을 맞춘 문학으로 옮겨왔습니다.

오늘날 서울의 거리에는 "빨리 빨리"라는 한국 속담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인의 삶의 속도가 갑자기 빨라졌습니다. 그리고 이 가속화는 부수적인 피해자들뿐만 아니라 대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한국은 세계 젊은이들 사이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사람들 옆에는, 많은 청소년들은 단지 버리고 떠나는 꿈을 꿉니다. 그들은 주로 미국, 프랑스, 독일, 그리고 스위스에서 몇 년 동안 공부할 계획이나 일을 할 계획입니다.



US Army: pariah in the country:

South Korea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has a military base on the ground in Osan, south of Seoul, and a large military installation 100 km from the border with the North. (Bases of which South Koreans is not proud.)

South Korean society casts a disapproving eye on this military presence, which is particularly evident in Seoul. In the capital, U.S. citizens are not welcome in some places, such as nightclubs, because of their behavior.

Moreover, the elders believe that it is the fault of Americans that Korea has split in tw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US military presence is a source of tension.


미군: 시골의 파리아:

한국은 미국의 강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워싱턴은 서울 남쪽의 오산에 현장 군사 기지를 가지고 있고 북한과의 경계에서 1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대규모 군사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이 자랑스러워하지 않는 근거들.]

한국 사회는 이러한 군사적 존재에 대해 특히 서울에서 두드러지는 불만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수도에서, 미국 시민들은 그들의 행동 때문에 나이트클럽과 같은 몇몇 장소에서는 환영받지 못합니다.

게다가, 노인들은 한국이 둘로 갈라진 것이 미국의 잘못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이 미군 주둔이 긴장의 원천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Author: Moise

Translator: Arvinbilig Editor: Trang Nguyen Photo editor: Winda Publisher: Martina



35 views0 comments

Comentários


bottom of page